티스토리 뷰
옛말에 길따라 투자를 하라는 얘기가 있다. 부동산 투자는 큰길 주변에 하라는 얘기다. 길은 집과 집, 마을과 마을,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곳이다. 집, 마을, 도시들이 하드웨어라면, 실제로 거기에서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사람이다. 사람이 유기적으로 서로 왕래하고 활동을 하는 것이다. 바로 길을 따라서. 그래서 길이 있는 곳에 투자가 보이는 것이다. 이런말이 예나 지금이나 견고한 진리임을 과시한다.
이러한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 방식은 점점 더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가 앞으로 10년간 철도망 구축의 기본방향등을 담은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을 발표해서, 10년후면 전국 단일 생활권시대가 열릴 수 있게 계획한다.
GTX는 수도권 내에서 가장 큰 교통 호재로 풀이되고 있다. A노선은 파주운정에서 화성 동탄역을 연결한다. B노선은 인천 송도에서 경기 마석역을 연결한다. C노선은 의정에서 산본 금정역을 연렬한다. 이러한 3개의 광역급행철도는 올해말부터 본격 착수하기로 했다. 이렇게 하여 향후에 광역급행철도가 개통되면 격이도나 인천에서 서울 도심까지 2~3시간 걸리는 교통시간이 20~30분 이내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즉 경기도가 서울 생활권으로 흡수되고, 수도권을 전체 하나로 연결하는 획기적인 교통이 바로 광역급행철도이다. 이렇게 되면 생활권의 확장으로 광역급행철도역 주변이 새로운 터전이 될것으로 전망된다. 출퇴근도 가능하므로 공간상 제약을 많이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운정신도시 내에 위치한 대규모 주거복합개발지구의 첫 공급 상품이다. 그리고 주거공간과 호텔의 서비스를 더한 '하우스텔'로 꾸며지는 만큼 기존의 오피스텔과는 차별화된 주거, 투자가치도 갖춰진다. 단지에는 입주민들의 여유로운 주거와 편의를 위한 1층 헬퍼테스크와 발렛파킹, 청소, 세탁 등을 관리해 주는 호텔식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거 기능을 한층 더 향상시켰다. 또한 전 세대에 복층 구조를 적용하여 실용적인 공간을 확보했다. 일부 세대에는 테라스 설계를 도입해서 공간 활용을 최대화했다.
1인가구나 신혼부부가 살기에 적합한 구조로 설계가 된 듯하다. 특히 모든게 빌트인 된 풀퍼니시드 시스템으로 가전등을 위한 별도의 부대비용이 없이 거의 몸만 들어가면 되는 수준으로 편리함을 누릴 수 있다. 요즘은 확실히 빌트인을 강화하는게 트렌드이다. 사실 가구나 냉장고, 세탁기 등은 불필요해 보인다. 빌트인으로 해서 이사시에 기동성이 편리하게 주거문화가 개선되면 좋겠다. 또한 호텔식 컨시어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니 더없이 럭셔리한 것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4차산업혁명의 총아로 알려지는 사물인터넷의 힘을 입어 모든 기기가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연동되어 편리성과 효율성도 같이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며칠전에 파주 운정에 갈일이 있어서 갔는데, 출퇴근 시간에 광역버스로 2시간 가량 걸린다. 길에다 시간을 깔고 다는 것은 돈 낭비보다 더 심한 낭비로 생각하고 있다. 이런찰나에 이 단지에 광역급행철도망도 연결되고 편리성을 더해주니 최적의 주거단지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위 내용은 한국경제TV 2018.11.27.자 <TOD 가치 확산... '파주 운정 힐데스하임 케멜라스'눈길>기사를 재편집 구성함]
이러한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 방식은 점점 더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가 앞으로 10년간 철도망 구축의 기본방향등을 담은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을 발표해서, 10년후면 전국 단일 생활권시대가 열릴 수 있게 계획한다.
GTX는 수도권 내에서 가장 큰 교통 호재로 풀이되고 있다. A노선은 파주운정에서 화성 동탄역을 연결한다. B노선은 인천 송도에서 경기 마석역을 연결한다. C노선은 의정에서 산본 금정역을 연렬한다. 이러한 3개의 광역급행철도는 올해말부터 본격 착수하기로 했다. 이렇게 하여 향후에 광역급행철도가 개통되면 격이도나 인천에서 서울 도심까지 2~3시간 걸리는 교통시간이 20~30분 이내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즉 경기도가 서울 생활권으로 흡수되고, 수도권을 전체 하나로 연결하는 획기적인 교통이 바로 광역급행철도이다. 이렇게 되면 생활권의 확장으로 광역급행철도역 주변이 새로운 터전이 될것으로 전망된다. 출퇴근도 가능하므로 공간상 제약을 많이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운정신도시 내에 위치한 대규모 주거복합개발지구의 첫 공급 상품이다. 그리고 주거공간과 호텔의 서비스를 더한 '하우스텔'로 꾸며지는 만큼 기존의 오피스텔과는 차별화된 주거, 투자가치도 갖춰진다. 단지에는 입주민들의 여유로운 주거와 편의를 위한 1층 헬퍼테스크와 발렛파킹, 청소, 세탁 등을 관리해 주는 호텔식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거 기능을 한층 더 향상시켰다. 또한 전 세대에 복층 구조를 적용하여 실용적인 공간을 확보했다. 일부 세대에는 테라스 설계를 도입해서 공간 활용을 최대화했다.
1인가구나 신혼부부가 살기에 적합한 구조로 설계가 된 듯하다. 특히 모든게 빌트인 된 풀퍼니시드 시스템으로 가전등을 위한 별도의 부대비용이 없이 거의 몸만 들어가면 되는 수준으로 편리함을 누릴 수 있다. 요즘은 확실히 빌트인을 강화하는게 트렌드이다. 사실 가구나 냉장고, 세탁기 등은 불필요해 보인다. 빌트인으로 해서 이사시에 기동성이 편리하게 주거문화가 개선되면 좋겠다. 또한 호텔식 컨시어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니 더없이 럭셔리한 것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4차산업혁명의 총아로 알려지는 사물인터넷의 힘을 입어 모든 기기가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연동되어 편리성과 효율성도 같이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며칠전에 파주 운정에 갈일이 있어서 갔는데, 출퇴근 시간에 광역버스로 2시간 가량 걸린다. 길에다 시간을 깔고 다는 것은 돈 낭비보다 더 심한 낭비로 생각하고 있다. 이런찰나에 이 단지에 광역급행철도망도 연결되고 편리성을 더해주니 최적의 주거단지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위 내용은 한국경제TV 2018.11.27.자 <TOD 가치 확산... '파주 운정 힐데스하임 케멜라스'눈길>기사를 재편집 구성함]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남중의 강남 '개포' (0) | 2018.12.03 |
---|---|
금리인상 = 집값 하락??? (0) | 2018.11.30 |
신도시 정답은 교통망 확충부터 (0) | 2018.11.22 |
베니스 상인 (0) | 2018.11.22 |
자가 보유 높다고 좋은건 아니올씨다 (0) | 2018.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