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말에 길따라 투자를 하라는 얘기가 있다. 부동산 투자는 큰길 주변에 하라는 얘기다. 길은 집과 집, 마을과 마을,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곳이다. 집, 마을, 도시들이 하드웨어라면, 실제로 거기에서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사람이다. 사람이 유기적으로 서로 왕래하고 활동을 하는 것이다. 바로 길을 따라서. 그래서 길이 있는 곳에 투자가 보이는 것이다. 이런말이 예나 지금이나 견고한 진리임을 과시한다. TOD(Trasit Oriented Development ;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 방식)가 주택시장의 주요 트렌드라고 한다. 이는 GTX-A 노선과 지하철의 인접으로 파주 운정 힐데스하임 케멜라스가 잘 입증한다. 도시가 발달할 수록 대중교통망이 잘 발달한다. 즉 지하철, 광역버스, KTX, SRT, 트램..
계란을 유달리 좋아하는 사람이 있었다. 그래서 식당에 갈때마다 돈을 천원 정도 더 주고 계란 후라이 2개를 해달란다. 대부분의 식당에서는 그렇게 해주어서 잘 이용했단다. 그런데 어느날 한 식당에 가서 계란 후라이를 해 달라고 하니 "여기가 자기네 식당인줄 아냐"며 핀잔을 줬단다. 이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판단을 해야할까? 고객이 옳을까 아니면 식당 주인이 옳을까? 일반적으로 식당은 정해진 메뉴가 있고, 그 메뉴중에서 선택을 해서 주문을 한다. 그러기 때문에 메뉴에도 없는 특별한 요리를 주문하는 것은 식당주인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 특히 가뜩이나 바쁜 점심시간에 그런 별도의 주문을 한다면, 식당으로서는 화가 날 수 있다. 정해진 메뉴도 주문대로 처리하기 바쁜데 생뚱맞게 메뉴에도 없는 것을 요구하면 황당할..
유럽의 단촐한 아침식사를 맞이한다. 이태리의 테이블 특징은, 커피는 오리지날로 커피와 적당한 썪어서 마실 수 있는 우유가 세트로 준비된다. 그래서 여기에는 오리지날 이탈리아노와 라떼가 있을 뿐이다. 이처럼 오리지날은 복잡하지 않고 심플하다. 하지만 이러한 식단이 눈은 즐거울 수 있으나, 입맛에는 그렇게 적응되는 것이 아니다. 사과도 혼자서 먹기에 딱 좋은 사이즈다. 과일의 크기만 보더라도 개인주의 사고가 짙은 문화를 엿볼 수 있다. 포크나 나이프는 두께가 얇다. 마치 싸구려 식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오해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기구들은 정통식이고 오래된 것이라고 한다. 그 한마디에 그냥 불쑥 튀어나오는 불만이나 부정썩인 감정을 추스려 본다. 여기는 수분이 있는 음식을 잘 먹지 않는단다. ..